이세간품(離世閒品)은 화엄경 7처 9회 39품 중 제8회 삼회보광명전법회로서 제53권부터 제59권까지 총 7권에 달하는 비교적 방대한 품이다.
이세간(離世閒)이란 ‘세간을 떠났다’는 의미이지만, 부처를 이루어 세간을 완전히 떠난다는 의미가 아니라 부처님으로 출현하여 세간과 출세간에 얽매이지 않는 경계를 보인다는 의미로서의 ‘이(離)’를 나타낸 것이다.
마갈제국 아란야 법 보리도량의 보광명전에서 설한 이 품은 십신, 십주, 십행, 십회향, 십지, 등각, 묘각의 법에 관해 보혜보살이 이백 가지 질문을 하고 그 하나하나의 질문에 보현보살이 이천 가지로 대답을 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.
제57권에는 보혜보살의 이백 가지 질문에 보현보살이 이천 가지로 답하는 내용 중 십지의 50문에 답하는 내용이 이어진다.
보살의 열 가지 습기와 열 가지 취함, 열 가지 닦음, 열 가지 부처님 법을 성취함, 열 가지 부처님 법에서 물러남, 열 가지 생을 여의는 길, 열 가지 결정한 법, 열 가지 법을 출생하는 길, 열 가지 대장부의 명호, 열 가지의 도, 열 가지의 한량없는 도, 열 가지 한량없는 도를 닦음, 열 가지 장엄하는 도, 열 가지 발, 열 가지 손, 열 가지 배, 열 가지 장, 열 가지 마음, 열 가지 갑옷 입음, 열 가지 무기, 열 가지 머리, 열 가지 귀, 열 가지 코, 열 가지 혀, 열 가지 몸, 열 가지 뜻, 열 가지 행, 열 가지 머무름, 열 가지 앉음, 열 가지 누움, 열 가지 머무를 곳, 열 가지 행할 곳에 대해 각각 묻고 이에 대해 열 가지로 대답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.
위와 같이 십지의 50문에 답하는 내용을 모두 설해 마치고 이어 등각위의 32문에 답하는 내용으로 보살은 열 가지 관찰함이 있고, 열 가지 널리 관찰함이 있고, 열 가지 떨쳐 일어남이 있고, 열 가지 사자후가 있음을 자세하게 설했다.